• 충북보건환경연구원, 청남대 진드기 매개체 감시 결과 안전
    • 내년 봄부터 감염병 매개체 감시사업 지원 계획

    • 충청북도 보건환경연구원(원장 김종숙)은 청남대 일부 시설 개방에 따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(SFTS), 쯔쯔가무시증 등 감염병을 매개하는 진드기(매개체)의 서식분포조사를 실시했다.

      청남대 관광 사업 강화를 통한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청남대 피크닉 광장 내 잔디밭과 야산 경계 인근 지점에서 진드기를 채집한 후 진드기 내 병원체 감염 여부를 확인했다.

      가을철 축제 기간 및 피크닉 광장 개방 시기에 맞춰 광장 내 잔디밭과 인근 지점에서 진드기 채집과 채집된 진드기 내 SFTS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조사했지만 병원체는 검출되지 않았다.

      진드기는 정비되지 않은 풀이 많은 장소와 야생동물이 사는 모든 환경에 널리 분포해 있어 관광, 등산 시 정비된 탐방로가 아닌 샛길 출입을 자제하여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.

      진드기 매개 감염병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일부 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는 질환으로, 지난 10일 기준 충북 도내에 신고된 쯔쯔가무시증 환자는 59명이며 이 중 환자의 89.8%가 10월과 11월에 발생했다. 쯔쯔가무시증은 쯔쯔가무시균을 보유한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후 발생할 수 있으며, 물린 자리에 가피(검은딱지)가 생기고 발열, 근육통, 반점상 발진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.

    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(SFTS)은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는 질병으로 치명률이 평균 18.5%로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. 충북에서 올해 8명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(SFTS) 환자가 발생했으며 환자 발생 시, 역학 조사 결과에 따라 환자 발생지 내 진드기 교상 추정 지점에서 참진드기 채집 및 병원체 보유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.

      연구원은 청남대 관광자원 개발에 따라 축제 및 개방시기에 맞춰 내년에도 감염병 매개체 감시사업을 지원할 계획이며 감염병에 대한 선제적 대응으로 관광객의 불안감 해소와 안전성 확보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.

      연구원 양승준 보건연구부장은 “야외활동 시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하여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”며, “관광이나 등산 시 정비된 탐방로를 이용하고 풀밭에 바로 앉거나 눕지 않는 등 예방 수칙을 지켜달라” 고 당부했다.
    Copyrights ⓒ 이슈프레스저널 & www.issuepress.co.kr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
  • 확대 l 축소 l 기사목록 l 프린트 l 스크랩하기
         신문사소개  |   기사제보  |   광고문의  |  불편신고  |  개인정보 취급방침/이용약관  |  청소년보호정책  |  이메일무단수집거부
대표자명: 씨아이씨라이프 박청삼 | 상호: 이슈프레스저널 | 주소: 경상남도 진주시 에나로 85(충무공동, 3층)
신문등록번호: 경남,아02475 | 신문등록일자: 2020.12.01 | 발행인: 씨아이씨라이프 박청삼 | 편집인: 박성기
청소년보호책임자: 박성기 | 전화번호: 02-6709-3003 | fax번호: 02-6735-5006 | 이메일: mjclalala@google.com
Copyright © 2020 이슈프레스저널. All rights reserved.